본문 바로가기
경제 이야기

자유적금 추천 TOP 3 (이자 높은 은행 알아보기)

by 비즈 인포 2025. 4. 16.

자유적금은 정기적금과 달리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지 않아도 되어 수입이 유동적인 분들에게 추천되는 저축 방식입니다. 하지만 반대로 불입 의무가 없다 보니 높은 금리의 상품을 찾기가 어려운데요.

 

때문에 여건 상 자유적금을 사용해야 하는 분들의 경우 이 낮은 금리가 항상 아쉬움으로 작용할 것입니다. 이러한 분들을 위해 이 글에서는 현재 자유적금을 출시한 은행들 중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곳은 어디인지 살펴보려 합니다. 2025년 기준 자유적금 추천 상품! 지금 함께 알아보시죠. ✨

 


 

📌 자유적금 뜻

자유적금이란, 정해진 금액을 매월 납입하는 일반 적금과 달리, 납입 금액과 시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적금 상품을 말합니다. 그렇기에 제때 입금을 하지 못하여 만기가 밀리는 문제를 겪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  • 고정 수입이 없거나 수입이 불규칙한 프리랜서, 자영업자에게 유리
  • 여유 자금이 생길 때마다 저축 가능
  • 자유롭게 납입하면서도 정기적금과 비슷한 이자 혜택

 

💰 자유적금 이자

자유적금의 이자는 납입 금액 × 금리 × 예치 기간에 따라 계산되는데, 일정한 금액을 매달 납입하는 정기적금보다는 아무래도 이자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다음과 같은 요소를 활용하면 이자 수익을 늘릴 수 있습니다.

  • 우대금리 조건 충족: 자동이체, 급여이체, 카드사용 실적 등
  • 빈번한 납입: 잔액을 자주 늘릴수록 이자 계산에 유리
  • 가입 기간이 길수록: 복리 혜택 증가

예시: 월 50만 원씩 1년간 자유적금(기본금리 3.0%, 우대금리 0.8%)에 납입 시, 세전 이자는 약 97,000원 수준

 

🏦 자유적금 추천

2025년 4월 기준으로 가입 조건이 제한적이지 않고, 금리 혜택이 높은 자유적금 상품을 비교해 봤습니다.

은행명 상품명 최고금리 가입기간 우대조건
카카오뱅크 자유적금 3.30% 6개월~36개월 자동이체, 만기 유지
케이뱅크 코드K 자유적금 3.50% 1개월~3년 이벤트 내 우대코드
하나은행 자유적금 2.60% 6개월~60개월  

 

카카오뱅크 자유적금

  • 계약기간: 6개월 이상 ~ 36개월
  • 월 저축금액: 1천 원 ~ 300만 원
  • 금리 정보: 계약기간에 따라 다르며, 12개월 ~ 24개월 기준 기본금리는 약 3.1% 수준입니다. 자동이체를 등록하고 만기까지 유지하면 연 0.2%의 우대금리가 적용되어 총 3.3%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
케이뱅크 코드 K 자유적금

  • 계약기간: 1개월 이상 ~ 3년
  • 월 저축금액: 1천 원 ~ 30만 원
  • 금리 정보: 계약기간에 따라 다르며, 1년 이후 기본금리는 3.5%입니다. 여기에 만기 후 6개월을 초과할 경우 연 0.20%의 추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하나은행 자유적금

  • 계약기간: 6개월 이상 ~ 60개월
  • 월 저축금액: 1천 원 ~ 1억 원 (단, 계약기간의 2/3이 지난 후 1/3 기간에는, 이 전에 적립한 잔액의 1/2을 초과하여 입금할 수 없습니다.)
  • 금리 정보: 계약기간에 따라 다르며, 2년은 2.4%, 3년은 2.5%, 5년 이상은 2.6%의 금리가 적용됩니다.

 

Tip: 금리만 보지 말고, 우대조건 충족 가능 여부 월 저축금액을 먼저 확인하세요. 예로, 케이뱅크는 가장 높은 금리가 적용되지만 월 30만 원이 최대 입금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. 그러나 하나은행은 2년 기준 2.4%로 금리가 낮아 보일 수 있으나, 최대 월 납입 금액은 1억 원까지 가능합니다. 그렇기에 목돈으로 적금을 드려는 분에게는 하나은행이 훨씬 유리합니다.

 

📍 요약

  • 자유적금은 불규칙한 수입에도 유연하게 저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
  • 우대금리 조건만 잘 활용하면 정기적금 못지않은 이자 수익 가능
  • 2025년 추천 상품으로는 카카오뱅크, 케이뱅크, 하나은행 등이 있음

수입이 일정하지 않거나, 여유 자금이 생길 때 저축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자유적금은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 이때 각 은행마다 상품의 장단점이 다르니, 정보를 꼼꼼히 읽어 보시고, 본인에게 맞는 자유적금을 선택하여 이로운 재테크를 하시기 바랍니다.